반응형 서평7 스토리 텔링 애니몰 스토리텔링 애니멀 인간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픽션을 보는데 쓰고 있다. 우리가 보는 드라마, 영화, 소설, 게임, 유튜브 영상 심지어는 음악까지(대중음악은 가수들의 이야기 아니던가?) 이전엔 소설, 시, 신화의 형태로 존재하던 것들이 최근들어 기술혁명으로 인해 스크린으로 전달매체가 바뀌었을뿐. 그 성격은 여전하다. 우리는 예전보다 덜 읽는다. 하지만 그 이유가 우리가 픽션을 버렸기 때문은 아니다. 종이가 스크린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우리는 스크린으로 이야기를 보는라 엄청난 시간을 소비한다. 나의 경험을 예로 들어보면, 유튜브에서 추천해주는 많은 영상 컨텐츠를 아무 생각없이 소비하다, 그들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몇 시간이고 핸드폰을 잡고.. 2021. 5. 12. 목표의 위계화 엔젤라 더크워스는 그릿을 지속적이고 열정적인 끈기라고 정의한다. 이때 열정이란 일시적으로 타오르고 꺼져버리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오래동안 하나의 목표를 물고 늘어지는 "지속적인 열정"을 뜻한다. 이 그릿을 인생의 세부적인 목표, 행동들에 다 적용해야 하는가? 아니다. 우선 목표를 위계화 또는 계층화 시켜보자.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처럼) 최상위목표-상위목표-중간목표-하위목표 이렇게 각각의 목표들을 설정해보자. 처음에는 서로 상충하고 반대되는 목표들이 나온다. 이를 조금 더 고민해본다면 이들 간의 공통적인 특성이 보일것이다. 그곳으로 부터 상위 목표들을 뽑아나간다. 이렇게 목표를 위계화 시켰는가? 그러면 이제 최상위 목표에 그릿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최상위 목표 (또는 2~3개 그 이상은 안된.. 2021. 3. 30. 그릿(GRIT) 그릿이란 열정과 끈기로 이루어진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가능한 성공의 예측 변인. 또는 열정과 집념있는 끈기. 한줄 필사 성공은 타고난 재능보다 열정과 끈기에 달려있다. 아버지, 길게 보면 재능보다 끝까지 하겠다는 집념이 더 중요할지도 몰라요. 웨스트 포인트 생도들의 대답은 다채롭고 재밌었지만 그들이 실생활에서 내리는 결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실패한 뒤에도 계속 시도하는 의지가 매우 중요하고도 쉽지 않은 특성인 듯했다. "일이 잘 풀릴때는 잘 해내지만 잘 안 풀릴때는 무너져 버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요컨대 분야에 상관없이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들은 대단히 화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2021. 3.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